오늘 패션업계에서 일하는 지인과 잠깐 만났는데, 솔직히 무슨 말을 하는지 거의 못 알아 들었습니다. 다음번에 만나면 호응이라도 해줘야겠다는 패션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직접 찾아서 배워보기로 했습니다. 저처럼 패션 잘 모르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포스트가 되길 기대합니다 ^_^
SS , 이 말은 봄 Spring과 여름 Summer의 영문 단어의 앞 글자를 딴 것이구요.
FW 이 것은 가을 Fall과 겨울 Winter의 영문단어에서 나온 말이지요.
페미닌룩
여성스러운 패션을 의미하는 데, 여성의 곡선의 미를 잘 살리고 우아한 모습을 연출하는 패션이죠.
보헤미안룩
이건 느낌 딱오죠! 보헤미안, 뭔가 자유로운 삶을 살 것 같은 그런 영혼을 위한 옷이죠. 편하면서 좀 빈티지한 느낌의 옷이지요!
아메카지 패션
미국 캐주얼 패션을 의미하는 데, 작업복 복고풍의 룩으로 통 큰 바지 등을 의미하죠. 사실 아메카지는 미국 스트릿 패션을 일본인 체형에 맞춰서 나왔다고 하는데요. (리얼 맥코이)
프렌치시크룩(FRENCH CHIC)
프랑스하면 떠오르는 시크한 분위기를 보이는 패션을 의미하는데요. 도시남하면 딱 떠오르는 자유로운 듯하면서 도도한 분위기가 풍기죠. 이건 1970년대 제인버킨이 대표적인 패션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놈코어룩
평범함을 의미하는 노멀과 철저함을 의미하는 하드코어의 합성어로 평범한 옷을 입었지만 시크하고 멋있어 보이는 패션을 의미하지요.
유니섹스룩
유니섹스랑 UNISEX라는 의미로 성별 구분없이 입을 수 있는 옷들을 말합니다. 주로 심플하고 베이직한 의류를 말합니다.
데님
비교적 두꺼운 면직물의 일종
콜렉션 (Collection)
한 시즌 동안 디자이너가 선보이는 모든 의상과 액세서리의 모음이지요.
패션쇼 (Fashion Show)
디자이너의 새로운 콜렉션을 모델들이 피팅하고, 런웨이에서 선보이는 이벤트입니다.
트렌드 (Trend)
특정 시기에 인기 있는 패션 스타일이나 디자인의 경향을 말하지요.
디자이너 (Designer)
의류나 액세서리 등을 디자인하는 전문가입니다.
스타일리스트 (Stylist)
패션 아이템을 고르고 조합하여 스타일을 완성시키는 전문가입니다.
패션 에디터 (Fashion Editor)
패션 잡지나 웹사이트에서 패션 관련 기사와 콘텐츠를 편집하는 사람입니다.
프리티 포터 (Prêt-à-Porter)
준비된 의류로, 고급 패션 아이템을 대량 생산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하지요.
하이 패션 (Haute Couture)
고급 패션 디자인을 수작으로 제작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한정된 수량을 한 땀 한 땀 장인정신으로 만들어내는 의류를 말하지요.
옷감 (Fabric)
의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직물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프린트 (Print)
직물에 인쇄된 패턴이나 그래픽 디자인입니다.
컬렉션 개발 (Collection Development)
디자이너가 콜렉션을 개발하기 위해 트렌드 연구, 디자인 개념화, 패턴 제작 등을 수행하는 과정입니다.
맞춤 재단 (Tailoring)
의류를 개인의 체형에 맞게 제작하는 기술 또는 그런 제작 방식을 말하지요.
액세서리 (Accessories)
의상 완성을 위해 추가되는 장식품이나 보조품으로, 가방, 신발, 액세서리 등이 포함되지요.
패션 트위스트 (Fashion Twist)
전통적인 스타일이나 디자인에 독특한 변화나 혁신을 주는 것을 말하지요.
옷감 (Fabric)
의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 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직물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디자이너 (Designer)
의류나 액세서리 등을 디자인하는 전문가입니다.
트렌드 (Trend)
특정 시기에 인기 있는 패션 스타일이나 디자인의 경향을 말하지요.
스타일리스트 (Stylist)
패션 아이템을 고르고 조합하여 스타일을 완성시키는 전문가입니다.
패션쇼 (Fashion Show)
디자이너의 새로운 콜렉션을 모델들이 피팅하고, 런웨이에서 선보이는 이벤트입니다.
패션 에디터 (Fashion Editor)
패션 잡지나 웹사이트에서 패션 관련 기사와 콘텐츠를 편집하는 사람입니다.
하이 패션 (Haute Couture)
고급 패션 디자인을 수작으로 제작하는 것을 말하지요.
콜렉션 (Collection)
한 시즌 동안 디자이너가 선보이는 모든 의상과 액세서리의 모음입니다.
프린트 (Print)
직물에 인쇄된 패턴이나 그래픽 디자인입니다.
맞춤 재단 (Tailoring)
의류를 개인의 체형에 맞게 제작하는 기술 또는 그런 제작 방식을 말하지요.
프리티 포터 (Prêt-à-Porter)
준비된 의류로, 고급 패션 아이템을 대량 생산하여 상업적으로 판매하는 것을 말하지요.
액세서리 (Accessories)
의상 완성을 위해 추가되는 장식품이나 보조품으로, 가방, 신발, 액세서리 등이 포함되지요.
컬렉션 개발 (Collection Development)
디자이너가 콜렉션을 개발하기 위해 트렌드 연구, 디자인 개념화, 패턴 제작 등을 수행하는 과정입니다.
패션 트위스트 (Fashion Twist)
전통적인 스타일이나 디자인에 독특한 변화나 혁신을 주는 것을 말하지요.
카이로스 패션 (Kairos Fashion)
패션의 경험적인 시간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순간적이고 일시적인 트렌드보다 영속성과 개별성을 추구합니다.
마켓 리서치 (Market Research)
소비자의 선호와구매 동향 등을 조사하여 패션 시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입니다.
패션 플랫폼 (Fashion Platform)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패션 브랜드, 디자이너, 소비자가 만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하지요.
패션 아이콘 (Fashion Icon)
패션과 스타일에 대한 독특한 감각과 영향력을 가진 인물을 말하지요.
레디 투 웨어 (Ready-to-Wear)
준비된 의류로, 대량 생산된 의류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것을 말하지요.
실루엣 (Silhouette)
의상의 윤곽이나 형태를 말하며, 허리, 어깨, 스커트 등의 형태와 비율을 나타냅니다.
브랜드 (Brand)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구분되는 특징과 아이덴티티를 가진 상호 연결된 이름 또는 심볼을 말하지요.
패션 캐피탈 (Fashion Capital)
패션 디자인, 제조, 유통 등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 또는 지역을 말하지요.
쇼룸 (Showroom)
디자이너나 브랜드의 제품을 바이어에게 전시하고 판매하기 위한 전문 공간입니다.
패션 트렌드 예측 (Fashion Trend Forecasting)
향후 패션 트렌드를 예측하기 위해 소비자 동향, 문화적 영향, 디자인 요소 등을 분석하는 활동입니다.
디지털 패션 (Digital Fashion)
가상 혹은 디지털 환경에서 경험되고 소비되는 패션 아이템을 말하지요.
패션 업사이클링 (Fashion Upcycling)
기존 의류나 소재를 재활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이나 제품을 만드는 지속 가능한 패션 접근 방식입니다.
언제나 여러분과 함께 뛰는 블로그로 성장하겠습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기쁨과 행복이 넘치는 삶 누리시길 바래요!! 안뇽~
'잡학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학습] 터치포인트 & 랜딩페이지 (0) | 2023.07.05 |
---|---|
[꼬꼬무] 원진레이온 사태 알아보기 (0) | 2023.07.02 |
[비교] 퍼스트 무버 VS 패스트 팔로어 (0) | 2023.07.02 |
마일스톤? 마일드스톤? 무슨 말이야 (0) | 2023.06.30 |
12.12 사태의 기록 [feat. 역사저널 그날] (0) | 2023.06.29 |
댓글